명언(17)
-
법륜스님 인간 관계&마음의 상처 치유 명언('엄마 수업' 중)
1. 흔히 당당하다는 걸 잘못 이해해서 잘난 척하거나 교만한 것으로 알기도 합니다. 그러나 겸손한 것이 당당한 것이지, 교만하고 잘난 체하는 건 열등 의식이 있어서예요. 2. '옳다 그르다' 하는 것은 각자의 견해일 뿐이에요. 교회에 가면 교회 얘기가 옳고, 절에 가면 절 얘기가 옳고,일본에 가면 일본 사람 말이 옳고, 한국에 가면 한국 사람 말이 옳은 거에요. (중략)견해라는 것이 다 자기 입장에서 갖는 생각이기 때문에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걸 알아야 해요. 3. 성질을 알고 맞춘다는 것은 지혜입니다. 먼저 상대를 살펴보고 성질을 알면, 어떤 관계든 이해하고 풀어 나가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상대의 성질에 대해서 잘 모르기 때문에 자기 생각대로 상대를 이해하고 바꾸려 들기 때문에, 관계에 문..
2025.02.10 -
힘든 상황을 이겨내기 위한 조언/방법
저마다 삶에서 힘든 상황을 겪지 않는 사람은 없는 것 같습니다. 오죽하면 모든 사람은 각자의 전투를 하며 살아간다는 말까지 있을까요. 책을 읽다가 힘든 상황을 이겨내는 데 도움이 되는 조언을 발견했습니다. 두고두고 읽고 싶고, 나누고 싶었답니다 :-) 감상해 보실까요? (상황 : 내담자는 불행한 회사 생활 때문에 사생활마저 망가지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앞으로 더 좋은 직장을 구하지 못할 까봐, 남들이 어떻게 생각할지 두려워서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디오티마(상담가) : 자기 수양을 하세요. 마음의 평온이 얼마나 중요한지, 나를 힘들게 하는 상황에서 벗어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으면 저절로 용기가 생길 거예요. 피상적으로 깨닫는 게 아니라 내면화를 해야 해요. 매일 아침에 일어날 때마다..
2023.03.14 -
끈기/인내심/그릿을 길러주는 노자의 명언
끈기와 인내심, '그릿(Grit-열정이 있는 끈기, 집념)'을 기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과연 이러한 자질을 성인이 된 후에도 기를 수 있을까요? '그릿(Grit)'의 저자 앤젤라 더크워스는 그릿이란 후천적으로 키울 수 있는 요소라고 말합니다. 꾸준한 노력을 통해 포기하지 않고 해 나간다면 운동으로 몸에 근육이 붙듯 끈기 또한 기를 수 있다는 것이지요. 오늘은 그릿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노자의 명언을 준비해보았습니다. 아름드리나무도 털끝 같은 싹에서 나오고, 구 층짜리 누각도 한 줌 흙을 쌓아 올려서 된 것이고, 천 리 길도 발밑의 한 걸음으로부터 시작된다. 《노자》 제64장 어려운 일은 쉬운 일에서부터 풀어야 하고, 큰일은 사소한 일에서부터 치르도록 해야 한다. 천하의 어려운 일도 반드시 쉬운 일..
2023.03.13 -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명언/자기 수용/ 자기 긍정
여기저기서 가슴 아픈 소식이 많이 들리는 요즘입니다. 세상이 복잡해져서 일까요, 서로를 상처 입히고 상처받는일도 점점 늘어만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무리 상처 받지 않고 살려고 해도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인해 크게 상처받은 일이 누구에게나 있을 겁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해야 마음을 잘 추스리고 다시 일어설 수 있을까요? 오늘은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명언을 모아봤습니다. 1. “감정이란 파도와 같아서 몰려오는 감정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어떤 파도를 탈지 고를 수는 있죠.” – Jonatan Martensson 2. “인간의 심장은 산산 조각이 난 후에도 다시 크게 자라날 수 있습니다.” – Robert James Waller(작가) 3. “고통은 물과 같아서 아무리 막아도 뚫..
2023.03.11 -
아침을 깨우는 명언/부처님/붓다/석가모니
「숟가락은 없다」 주체적인 삶을 위한 부처의 조언 숟가락은 없다 유튜브 채널 아침을 깨우는 명언 부처님 명언 1. “과거는 이미 지나갔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습니다. 당신이 살 수 있는 순간은 단 한번 뿐입니다.” 2. “자신을 이기는 것은 타인을 이기는 것 보다 더 위대한 일입니다.” 3. “당신이 할 일은 해야 할 일을 발견하고, 온 마음을 다해 그 일을 하는 것입니다.” 4. “뱀이 허물을 벗듯이, 우리는 우리의 과거를 벗고 또 벗어야 합니다.” 5. “평화는 내면에서부터 옵니다. 다른 곳에서 찾지 마세요.” 6. “만일 우리가 한 송이 꽃의 기적을 선명히 볼 수 있다면, 삶 전체가 바뀔 겁니다.” 7. “건강을 지키는 일은 의무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마음을 강하고 명료하게 유지할 수 없습니다.”..
2023.02.21 -
《자존감 높이려다 행복해지는 법을 잊은 당신에게》책 리뷰.
1. 자존감이란? 일반적으로 자존감이란 자기 자신 및 자기 자신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나는 얼마나 가치 있는 사람인가?(가치의 차원)’, ‘나는 얼마나 능력 있는 사람인가?(능력의 차원)’, ‘나는 내 삶의 주인인가?(통제의 차원)’. 이 세 가지 질문에 긍정적으로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자존감이 높은 사람’입니다. p.16 자존감이란 아침에 일어나 밤이 되어 잠에 들기까지, 매 순간 일어나는 자기 관찰 및 평가의 결과물입니다. 우리가 평상시 ‘나’에 대해 생각하는 대부분의 것들은 모두 자존감과 관련이 있습니다. p.101 2. 자존감은 변한다. 자존감은 지속적으로 변합니다. 따라서 자존감을 높이는 것에 대한 집착과 높인 자존감을 지키기 위해 파생되는 보호 심리를 줄이기 위..
2023.02.20